옴니보어는 2025년 트렌드 키워드로 ‘작십성 소비자’ 즉, “사회적 통념에 얽매이지 않고 폭넓은 취향을 즐기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카테고리와 브랜드를 혼합하여 소비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소셜미디어 등 여러 채널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쇼핑합니다. 또한 개성을 중시하면서도 유행을 따르기도 하고 합리적 소비와 고급소비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기업들은 옴니버스 전략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제품 판매가 아닌 소비자 주도형 시장 구조로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옴니보어 소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옴니보어 소비는 산업 구조부터 기업 전략까지 다양한 변화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1)산업 다각화 및 혁신 촉진, 품질의 경쟁력 강화
옴니보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수요를 창출합니다. 다양한 요구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유도합니다. 예를 들면, 소비자는 명품가방과 중소기업의 친환경 의류를 구매하는 형태를 보이면서 대기업, 중소기업 모두에게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을 촉진하고, 경제의 다각화를 이끌어냅니다.
또한 다양한 제품군의 소비 증가는 기업들의 품질 향상을 촉진하고 경쟁령 강화로 경제 성장에 기여합니다.
(2)중소기업 성장 기회 제공
특정 제품에 집중되지 않는 소비 성향으로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진입이 확대됩니다. 이는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새로운 기회가 창출되며 경제 전반의 활력을 높이게 됩니다.
(3)개인화된 마케팅 확대
기업들이 AI기반으로 개인의 소비 패턴을 분석해 추천해주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개발이 확대되면서 옴니보어 소비자들은 자신의 취향과 필요에 맞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대량 생산 방식이 아닌 맞춤형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4)문화적 다양성 증진
한국 문화와 해외 문화가 혼합된 제품 등 다문화적 제품의 수요 증가로 글로벌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용이하게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줍니다.
(5)친환경적 윤리적 성격
소비자들은 기업의 윤리, 사회적 책임, 환경적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함에 따라 기업들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친환경 소재로 만든 제품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패션 산업에서는 지속 가능한 소재와 윤리적 생산과정을 중시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제품 출시가 증가하고 있는 점입니다. 이러한 의식은 친환경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전반적인 경제의 친환경화를 이끌어 감으로써 환경보호와 경제 성장의 균형을 이루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2. 산업별 적용 사례
-패션 산업 : 패션 산업에서는 '하이엔드' 명품 브랜드와 '로우앤드' 대중적인 브랜드를 믹스 매치하는 스타일이 나타납니다. 샤넬, 루이비통과 같은 명품 브랜드와 H&M, ZARA 등의 SPA 브랜드를 함께 스타일링하는 등 다양한 브랜드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셀 시장(중고)이 활성화 되면서 합리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패션스타일을 추구하는 점도 보여집니다.
-식품 산업 : 음식 분야에서는 다양한 문화와 스타일을 융합하는 트렌드가 나타납니다.
-자동차 산업 : 전기차와 내연차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기가 많은 점도 하나의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산업 : 다양한 OTT 플랫폼을 동시에 구독하고 영화부터 웹예능까지 다양한 장르를 구분 없이 시청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유통 산업 : 대형 마트에서는 소비자들이 집밥 식재료를 구매하면서 동시에 외식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등 다목적 소비 행태를 보입니다. 이마트의 경우, 2024년 1~8월 매장 내 패밀리 레스토랑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고 합니다.
'-경제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서울 아동돌봄수당(조부모 아이돌봄비): 신청방법,신청대상자 (0) | 2025.02.19 |
---|---|
25년 주택담보대출 이자 소득공제 확대 : 연말정산 시 꼭 확인! (0) | 2025.02.10 |
연말정산 차감징수세액: 마이너스&플러스 이유, 이직 납입명세서 발급 방법 (0) | 2025.02.03 |
딥시크, 중국AI: 주가현황, 챗GPT와 차이점,부정적 반응 (0) | 2025.02.01 |
트럼프 재취임과 2025년 현대자동차 주가 전망: 위기와 기회 (0) | 2025.01.25 |